본 글은 The Linux Kernel 을 정리한 것이며, 출처를 밝히지 않은 모든 이미지는 원글에 속한 것입니다.


페이지 할당 및 해제(Page Allocation and Deallocation)

  • 물리 페이지를 할당하는 경우는 2가지
    • 디스크에 있는 실행 이미지를 메모리에 로드할 때
    • 페이지 테이블 같은 커널 특유의 자료구조를 저장할 때
  • 물리 페이지는 mem_map_t 구조체의 리스트인 mem_map 자료구조로 관리되며, 부팅 시 초기화됨
  • 각 mem_map_t 구조체는 물리 페이지 자료구조의 포인터를 갖고 있고, 각 물리 페이지 자료구조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정보를 포함
    • count 변수 이 페이지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프로세스)들의 수
    • age 변수 페이지의 나이 (폐기 또는 스왑할 좋은 후보인지 결정하는데 사용)
    • map_nr 변수 물리 페이지의 프레임 번호
  • frea_area 자료구조는 할당되지 않은 물리 페이지들을 저장하는 배열이며, i번째 원소는 2^i 개의 연속적인 페이지들을 갖는 연결 리스트의 포인터
    • 페이지들은 2의 제곱수 개수로 묶여서 블럭 단위로 보관됨 (1페이지, 2페이지, 4페이지, 8페이지 등)
    • map 변수는 각 원소마다 있는데, 할당된 페이지 그룹을 추적하여 관리하기 위한 비트맵으로, 비트 N은 1로 설정되면 N번째 페이지 블럭이 프리(free, 할당 가능)라는 의미

free_area 배열, 4번째 페이지부터 7번째 페이지(크기: 4페이지 = 2^2)까지 인덱스 2의 리스트에서 첫번째 노드가 참조

  • 버디 알고리즘(Buddy Algorithm) 리눅스 페이지 블럭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해제하기 위한 알고리즘
    • 페이지 할당 코드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페이지로 구성된 블럭 1개를 할당
    • (nr_free_pages > min_free_pages) 시스템에 있는 할당 가능한 페이지 개수가 요청을 처리하기에 충분하다면, 요청한 크기에 해당하는 페이지 블럭을 free_area 에서 탐색
      • 만약 요청된 크기의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면, 그 다음 크기(요청된 크기의 두 배)의 블럭을 탐색
      • 이 과정은 모든 free_area를 다 검색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 블럭을 찾아낼 때까지 반복
    • 찾아낸 페이지 블럭이 요청한 크기보다 크다면, 그 페이지 블럭은 요청한 크기가 될 때까지 분할됨
    • 블럭의 남은 부분은 frea_area에 해당하는 크기의 리스트에 추가되고, 요청한 크기의 페이지 블럭은 호출자에게 전달
  • 페이지 해제 코드는 페이지 블럭이 해제될 때마다 인접한 프리 페이지들을 더 큰 블럭의 프리 페이지로 병합하여 메모리 조각을 줄임
    • 매 해제 과정에서 같은 크기의 인접한 버디(buddy) 블럭이 프리인지 검사
    • 페이지를 할당하다보면 메모리가 조각나기 쉬운데, 페이지 해제 코드는 계속해서 더 큰 페이지 블럭을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메모리에서 허락하는 만큼 블럭을 병합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조각을 줄이게 됨

메모리 매핑(Memory Mapping)

가상 페이지 자료구조

  •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디스크에 있는 실행 이미지를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공간에 연결하는 것
  • 실행 파일을 물리 메모리에 모두 로드하지 않고, 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참조되는 일부만 메모리에 로드(요구 페이징)
  • 모든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공간은 mm_struct 자료구조로 관리되며, 이 자료구조는 실행중인 이미지에 대한 정보 및 가상 페이지를 기술하는 vm_area_struct 구조체의 리스트의 포인터(=mmap)를 가지고 있음
  • 각 vm_area_struct 구조체는 가상 페이지의 시작(vm_start)과 끝(vm_end), 메모리에 대한 연산(vm_ops),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나타내며, 실행 이미지의 일부를 기술함
    • 예를 들어, nopage() 는 페이지 폴트를 처리하는 함수로, 특정 루틴의 주소를 참조하지 않으면 커널의 기본 루틴이 호출됨
  • 처음에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메모리 매핑 과정에서 vm_area_struct 구조체의 집합이 생성되고, 가상 주소공간은 실행 코드, 초기화된 데이터(변수), 초기화되지 않은 데이터(BSS) 등을 포함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memory-management-and-virtual-memory-some/

  •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면, 커널에서 페이지 폴트 핸들러는 폴트가 발생한 가상 주소를 포함하는 vm_area_struct를 탐색
    • 폴트가 아니더라도 탐색 과정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 vm_area_struct 리스트는 AVL 트리 구조
    • AVL은 균형 이진 트리로, 삽입/삭제 과정에서 항상 왼쪽과 오른쪽 서브트리의 높이차가 1보다 커지지 않도록 회전함

https://en.wikipedia.org/wiki/AVL_tree

  • 페이지 폴트가 발생한 곳이 유효한 주소(가상 주소공간 내에 존재)이면, 커널은 PTE를 검사
    • PTE가 값이 0이 아니면,스왑 아웃되어 PTE에 다른 페이지가 저장된 것이므로 그 페이지는 스왑 파일에 존재
    • 위의 경우, PFN 항목은 스왑 파일의(그리고 어떤 스왑 파일의) 어느 부분에 그 페이지가 들어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가짐
    • 요청한 페이지가 물리 메모리로 올라오면,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을 갱신한 후, 폴트가 발생한 가상 주소에서 재실행

페이지 캐시(Page Cache)

페이지 캐시 해쉬 테이블

  • 디스크에 있는 실행 이미지를 불러오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저장공간으로, 메모리 매핑된 파일은 페이지 단위로 읽혀지는데 물리 메모리에 로드될 때마다 해당 페이지는 페이지 캐시에 저장됨
  • 페이지 캐시는 page_hash_table 자료구조로 나타내며, 각 원소는 mem_map_t 구조체의 리스트의 포인터
    • 각 mem_map_t 구조체는 매핑된 페이지가 저장된 파일(inode)과 파일 내 오프셋(offset)을 포함
    • inode는 파일 하나에 1:1로 대응되는 커널 자료구조 VFS inode 번호를 의미
  • 실제로 요구 페이징에서 페이지 폴트가 발생할 때마다, 커널은 페이지 캐시를 가장 먼저 참조
    • 페이지가 캐시에 있으면, 그 페이지를 나타내는 mem_map_t 자료구조에 대한 포인터가 페이지 폴트 처리 코드로 전달됨
    • 페이지가 캐시에 없다면, 물리 페이지를 할당하고 디스크 상의 파일로부터 페이지를 읽어와 메모리에 로드
      • 빈 물리 페이지가 없다면 스왑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적절한 페이지를 스왑 아웃
  • 페이지 폴트가 발생할 때마다 페이지 캐시에 폴트가 발생한 페이지를 저장하는데 가능한 다음 페이지도 저장하려고 함. 이는 프로세스가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대한 미리 페이지를 읽어와 메모리 접근을 줄이려는 목적
  • 페이지가 어떤 프로세스에 의해서도 사용되지 않으면 캐시에서 제거됨

페이지 스왑 아웃과 폐기(Page Swap-out and Discarding)

  • 캐시가 커지면 물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커널 스왑 데몬(kswapd)이 불필요한 물리 메모리를 검사하고 해제함
  • 커널 스왑 데몬은 커널의 init 프로세스에 의해 시작되는 커널 쓰레드라는 특별한 종류의 프로세스로, 물리 메모리 공간에서 커널 모드로 실행됨 (가상 주소공간을 가지지 않음)
  • 커널 스왑 데몬은 커널 스왑 타이머가 주기적으로 만료될 때마다 free_pages_high 과 free_pages_low 라는 2개의 변수를 사용하여 실제 할당되지 않은 페이지 개수(nr_free_pages)가 너무 적지 않은지 검사
    • nr_free_pages > free_pages_high, 타이머가 만료되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다시 잠듬 (다음 타이머 만료까지 대기)
    • nr_free_pages < free_pages_low, 타이머가 만료되면 물리 페이지를 해제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을 시도 (다음 타이머 만료가 절반정도 당겨짐, 이전의 절반 정도 잠듬)
      • 페이지 캐시와 버퍼 캐시 크기 줄이기
      • 시스템 V 공유 메모리 페이지를 스왑 아웃
      • 페이지를 스왑 아웃하고 폐기
    • 매번 실행될 때마다 위 3가지 방법에서 최종적으로 성공한 방법을 기억해서 사용함
    • nr_free_pages 가 low ~ high 사이에 있으면, 다음 타이머 만료가 미뤄짐 (low보다 작을 때 적게 잠들었으니, low보다 커지면 더 오래 잠드는 구조)
  • 커널 스왑 데몬은 nr_async_pages 라는 변수로 현재 스왑 파일에 저장될 페이지 개수도 고려하는데, 이 변수는 어떤 페이지가 스왑 파일에 쓰여지기 위해 큐에 들어가면 증가하고, 스왑 파일에 쓰여졌으면 감소
  • 페이지 캐시와 버퍼 캐시 크기 줄이기
    • 물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면 가장 먼저 페이지 캐시와 버퍼 캐시에 있는 불필요한 페이지(사용하지 않는 것)를 제거
    • 메모리에서 스왑 아웃하는 경우와 달리 실제 장치에 기록할 필요가 없음
    • 커널 스왑 데몬이 캐시를 줄이려고 할 때마다, mem_map 리스트에 있는 페이지 블럭이 실제로 물리 메모리에서 제거되도 괜찮은지 시계 알고리즘(clock algorithm, 한 번에 몇 페이지씩 차례로 조사)으로 검사
      • 프리 페이지 수가 급격히 떨어져 스와핑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검사할 페이지 블럭의 크기가 커짐
      • 페이지 블럭은 돌아가며 검사되는데, 각 페이지는 페이지 캐시나 버퍼 캐시에 있는 것만 해당되며, 공유 페이지는 제외
    • 해제되는 페이지는 어떤 프로세스의 가상 메모리에도 속하지 않는 것이므로, 페이지 테이블을 수정할 필요가 없음
  • 시스템 V 공유 메모리 페이지 스왑 아웃
    • 커널 스왑 데몬은 캐시된 페이지를 제거하는 걸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공유 페이지를 스왑 아웃
    • 시스템 V 공유 메모리는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가상 메모리를 공유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프로세스간 통신 메커니즘(IPC)
      • 공유 메모리는 shmid_ds 자료구조로 표현되며, 각 프로세스마다 대응되는 가상 페이지들(vm_area_struct 구조체의 리스트)을 참조함
      • vm_area_struct 구조체에서는 vm_next_shared 와 vm_prev_shared 포인터로 공유되는 가상 페이지들을 연결
      • 각각의 shmid_ds 자료구조는 공유 가상 페이지가 매핑되어 있는 물리 페이지에 해당하는PTE의 리스트도 가짐
    • 커널 스왑 데몬은 공유 페이지를 스왑 아웃할 때도 시계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맨 마지막으로 스왑 아웃된 공유 페이지를 기억
    • 공유 물리 페이지의 PFN은 이 페이지를 공유하는 모든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변경해주어 스왑 아웃되었다고 표시(스왑 파일의 위치와 오프셋을 표시)해야 함
    • 커널 스왑 데몬은 각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에서 공유 가상 페이지의 번호(VPFN)로 엔트리를 찾아서 스왑 아웃된 PTE로 변환시키고 해당 페이지의 count 변수를 1씩 감소함. 만약 count 변수가 0이 된다면 해당 공유 페이지를 스왑 파일로 스왑 아웃
    • 마찬가지로 shmid_ds 자료구조에 있는 PTE도 스왑 아웃된 PTE로 교체
    • 스왑 아웃된 PTE는 다시 물리 메모리에 해당 페이지를 적재할 때 사용됨
  • 페이지 스왑 아웃과 폐기
    • 공유 페이지 스왑 아웃으로도 물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한 경우, 커널 스왑 데몬은 각 프로세스의 페이지들을 검사하여 스왑 아웃할 대상을 관찰
    • 스왑 후보가 되는 페이지들은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어떤 방법으로든 가져올 수 없어 저장해야 하는 경우
    • 폐기 후보가 되는 페이지들은 실행 코드처럼 변경되지 않아 스왑 파일에 쓸 필요가 없는 경우
    • 후보 페이지를 가진 프로세스가 결정되면, 그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공간을 전부 살펴보면서 공유되거나 락이 걸리지 않은 영역을 탐색 (메모리에 락이 걸려 있는 페이지는 스왑하거나 폐기할 수 없음)
    • 커널 스왑 데몬은 실행될 때마다 후보 페이지의 age 변수를 1씨 증가시켜 오래된 것으로 만듬 (페이지는 자주 사용될수록 젊어지고, 적게 사용될수록 나이 듬, 오래된 페이지들은 스와핑의 좋은 후보)
    • 각 페이지를 나타내는 mem_map_t 구조체는 count 변수도 가지는데, 커널 스왑 데몬이 사용할 때는 count가 1씩 증가
      • 스왑 알고리즘은 count 가 적은 페이지들(사용자 수가 적은 페이지들)만 스왑 아웃
    • 어떤 프로세스는 가상 페이지에서 자신의 스왑 연산(vm_area_struct의 vm_ops 포인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산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스왑 데몬은 스왑 파일에 페이지를 할당하고 스왑 페이지를 스왑 파일에 기록
    • 더티 페이지만 스왑 파일에 저장되며, 더티 페이지가 아닌 경우 해당 물리 페이지는 free_area 에 추가됨
    • 스왑 아웃 후, PTE에 스왑 파일의 위치와 파일 내 오프셋을 표시

스왑 캐시(Swap Cache)

  • 동일한 페이지에 대해 스왑 아웃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때, 스왑 파일에 기록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 (더티 페이지만 해당됨)
  • 스왑 캐시는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의 리스트로, 각 리스트 노드당 물리 페이지 하나에 해당됨
    • 커널은 스왑 아웃 요청을 처리할 때 가장 먼저 스왑 캐시에 유효한 PTE 가 존재하는지 파악
  • 스왑 아웃되었다가 다시 접근된 페이지는 스왑 파일과 물리 메모리에 모두 존재하게 되는데, 이후 다시 스왑 아웃할 때 페이지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스왑 파일에 이미 유효한 페이지가 존재하므로 다시 기록할 필요가 없음
  • 스왑 캐시에 있는 PTE는 스왑 아웃된 페이지의 것으로, 스왑 파일의 inode 번호와 파일 내 오프셋을 포함
    • PTE가 값이 0이 아니면, 이미 스왑 아웃되었다는 의미로, 페이지의 변경 유무를 파악
    • 페이지가 변경되었다면, 해당 PTE를 스왑 캐시에서 삭제 (다시 기록해야 함)
  • 예를 들어, 최초 실행 시 읽기/실행 작업으로 페이지 폴트가 발생한 경우, 페이지를 메모리로 가져온 뒤 PTE에 읽기만 가능으로 표시
    • 이후 쓰기 작업으로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면, 그 페이지는 더티로 표시되며 스왑 아웃 (메모리 -> 디스크) 후 스왑 캐시에 스왑 파일의 inode 번호 및 파일 내 오프셋을 저장, PTE에 쓰기 가능으로 표시
    • 이후 다시 스왑 아웃이 발생하면, 이미 스왑 파일에 존재하므로 다시 기록하지 않음

페이지 스왑 인(Page Swap-in)

  • 스왑 파일에 저장된 더티 페이지들이 다시 물리 메모리에 로드해야 하는 경우를 스왑 인(Swap In)이라고 함
    • 이미 스왑 아웃된 물리 페이지에 매핑된 가상 페이지에, 쓰기 작업을 하는 경우
  • RE: 접근하는 페이지(VPFN)에 해당하는 PTE가 유효하지 않으면 페이지 폴트가 발생
    • 페이지 폴트 핸들러: vm_area_struct 의 nopage()
    • 가상 주소공간에 유효하지 않은 주소이면 세그멘테이션 폴트 시그널을 프로세스에게 전달
    • PTE 얻기
      • MMU는 TLB가 있으면 TLB를 먼저 참조
      • MMU는 TLB에 엔트리가 없으면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
    • 물리 페이지 얻기
      • PTE에 스왑 아웃이 표시되어 있으면, 스왑 파일로부터 물리 페이지를 탐색
      • PTE에 아무 값도 없으면, 페이지 캐시를 참조
      • 그래도 못 찾으면, 디스크에 실행 이미지로부터 해당 페이지를 물리 메모리에 로드하고 페이지 캐시에 저장
  • vm_area_struct 에서 루틴 주소(vm_area_struct 구조체의 vm_ops 가 참조하는 swapin 포인터)를 변경하면 해당 루틴을 실행 (공유 페이지의 경우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므로, swapin 연산이 정의되어 있음)

 

본 글은 The Linux Kernel 을 정리한 것이며, 출처를 밝히지 않은 모든 이미지는 원글에 속한 것입니다.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가상 메모리 추상화 모델

  • 물리 메모리의 크기가 제한적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방법으로,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에 물리 메모리를 공유하도록 하여, 각 프로세스가 실제 물리 메모리보다 큰 메모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기법
  • 메모리 관리 서브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
    • 넓은 주소공간 프로세스마다 할당된 가상 주소공간은 물리 메모리보다 몇 배 더 클 수 있음
    • 보호 각 프로세스는 독립된 가상 주소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어떤 프로세스도 다른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줄 수 없음
    • 메모리 매핑 실행 이미지와 데이터 파일을 프로세스의 주소공간에 매핑시켜 실제로 필요할 때 물리 메모리에 로드
    • 공정한 물리 메모리 할당 프로세스들이 물리 메모리를 공정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할당
    • 공유 가상 메모리 서로 다른 프로세스들은 동일한 물리 메모리 영역을 각자의 주소공간에 매핑해서 사용 가능
  • 프로세스들은 물리 메모리를 공유하기 위해 각자의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을 가지며,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Page Table Entry, PTE)는 매핑된 가상 메모리 주소에 대응하는 물리 메모리 주소를 포함
    • CPU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면서 접근하는 메모리 주소는 모두 가상 메모리 주소이며, 가상 메모리 주소로 접근할 때 페이지 테이블을 이용하여 물리 메모리 주소로 변환
    • 주소 변환을 쉽게 하기 위해, 메모리는 페이지(Page)라는 작은 단위로 나뉘는데 모든 페이지들은 같은 크기 (보통 4KB나 8KB)
    • 각 페이지는 페이지 프레임 번호(Page Frame Number, PFN)로 식별 가능하며, 가상 메모리에서는 가상 페이지 프레임 번호(Virtual PFN, VPFN)라고 함
    • 가상 주소는 가상 페이지 프레임 번호와 해당 페이지에서의 오프셋으로 구성되며, 이 오프셋은 물리 페이지에서도 동일
    • 페이지 크기는 2의 제곱수인데, 그 이유는 주소 변환을 할 때 비트 마스킹과 쉬프트 연산으로 쉽게 처리하기 위함
  • 주소 변환 과정
    • CPU가 가상 주소를 메모리 관리 장치(MMU)에게 전달
    • MMU가 가상 주소로부터 VPFN과 페이지 오프셋을 추출하여 페이지 테이블에서 VPFN으로 인덱싱
    • MMU는 엔트리에서 물리 페이지 프레임 번호(PFN)를 얻음
    • PFN와 페이지 크기를 곱하여 물리 메모리에서 베이스 주소를 계산한 뒤, 베이스 주소에서 페이지 오프셋을 더하여 실제 물리 메모리의 위치로 접근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virtual-memory-i-15-21318-243/

  • 페이지 테이블은 3가지 정보를 포함
    • 유효 플래그 PTE가 유효한지를 나타내며, 유효하지 않다면 페이지 폴트(Page Fault) 발생
    • 물리 페이지 프레임 번호 VPFN 에 대응하는 물리 페이지 인덱스
    • 접근 제어 정보 해당 페이지가 가지고 있는 읽기/쓰기/실행 권한
  • 페이지 폴트(Page Fault) 프로세스가 물리 메모리에 매핑되지 않은 가상 페이지에 접근하는 것
  • 접근 제어(Access Control) PTE는 프로세스가 허용되지 않은 방식으로 물리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접근 제어 정보를 포함 (접근 제어 정보는 프로세서마다 다름)
    • 예를 들어, 쓰기 권한이 없는 위치(코드 영역)에 쓰려는 경우, 실행 권한이 없는 위치(데이터 영역)에서 실행하려는 경우
    • 대부분 프로세서는 커널 모드와 유저 모드를 지원하며, 유저 모드에서 실행 중일 때 커널 코드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음
  • 페이지 테이블을 이용하면 가상 메모리는 물리 메모리에서 페이지 단위로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음. 즉, 가상 페이지들은 물리 메모리에서 어떤 특정 순서로 존재할 필요가 없음
  • 대부분 범용 프로세서들은 물리 주소 모드와 가상 주소 모드를 제공하는데, 물리 주소 모드에서는 페이지 테이블이 필요 없기 때문에 주소 변환을 하지 않음. 커널 코드는 물리 모드에서 실행(물리적 주소 공간에 바로 매핑)되도록 링크되어 있음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

  •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현재 사용하는 가상 페이지만을 물리 메모리에 로드하는 것
    • 예를 들어, DB 프로그램이 DB에 검색할 때, DB의 모든 내용이 메모리에 로드될 필요는 없으며, 검색할 데이터 레코드들만 필요. 즉, DB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을 처리하는 코드를 메모리로 읽어들일 필요는 없을 것
  •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에서 VPFN으로 엔트리를 찾았을 때, 해당 엔트리에 대응하는 물리 페이지가 없다면 페이지 폴트(Page Fault)가 발생하고, 프로세스는 리눅스 커널에게 폴트가 발생한 가상 주소와 폴트의 원인을 통보
    • 가상 주소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공간 내 유효하지 않다면, 커널은 SIGSEGV 시그널(세그멘테이션 폴트)을 프로세스에게 전달 (프로세스가 그 시그널에 대한 핸들러를 정의하고 있지 않다면 기본 동작으로 프로세스는 종료됨)
    • 가상 주소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공간 내 유효하다면, 커널은 폴트가 발생한 가상 페이지를 디스크의 실행 이미지에서 찾아서 물리 메모리에 로드한 뒤, 페이지 테이블에 PTE를 추가
      • 이 과정은 디스크에 접근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므로, 그 시간동안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
      • CPU는 페이지 폴트가 발생했던 기계어 명령부터 재실행 (아래 그림의 7번)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virtual-memory-i-15-21318-243/

  • 스와핑(Swapping) 프로세스의 가상 페이지를 물리 메모리에 로드할 때 빈 물리 페이지가 없는 경우, 기존 물리 페이지를 제거하여 공간을 마련하는 과정
    • 커널은 물리 메모리에서 더티 페이지(dirty page, 변경된 페이지)를 제거할 때, 내용을 보존하기 위해 스왑 파일(swap file)에 페이지를 저장
    • 스왑 알고리즘(swap algorithm)은 어떤 페이지를 제거하거나 스왑할 지 결정하는데, 반복적인 스왑으로 디스크에 접근하느라 커널이 다른 일을 하지 못하는 쓰래싱 상태(thrashing)를 피하는 것이 중요
    • 따라서, 효율적인 스왑 알고리즘은 프로세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페이지들의 집합(작업 집합)을 모두 물리 메모리에 있게 함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Least Recently Used(LRU) Page Aging 기법을 사용
    • 페이지마다 나이(age)가 있고, 페이지가 자주 접근될수록 젊어지고, 적게 접근될수록 나이가 드는 구조
    • 나이든 페이지는 스와핑의 좋은 후보이며, 연결 리스트로 구현됨 (사용된 페이지를 참조하는 노드는 리스트의 맨 뒤로 이동하며, 결국 리스트의 맨 앞에 있는 노드는 가장 적게 참조된 페이지를 가리키게 됨, 리스트가 꽉 차면 맨 앞의 노드를 제거)

 

https://www.javatpoint.com/lru-cache-implementation-in-java

캐시(Cache)

  •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은 디스크보다는 빠르지만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커널은 메모리 관리와 관련하여 몇 가지 캐시를 사용. 하드웨어 장치에 접근하는 횟수를 줄임
  • 버퍼 캐시(Buffer Cache) 디스크에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쓰기 전에, 블럭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데이터 버퍼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
  • 페이지 캐시(Page Cache)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페이지들을 읽어들일 때 디스크 접근 횟수를 줄이기 위해 파일의 논리적인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는 용도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virtual-memory-iii-15-21318-243/

  • 스왑 캐시(Swap Cache) 더티 페이지들만 저장하는 디스크 파일
    • 스왑 파일에 기록된 이후 페이지가 더 이상 변경되지 않았다면, 그 페이지가 다음에 스왑 아웃(메모리 → 디스크)될 때는 이미 스왑 파일에 동일한 내용이 있으므로 디스크에 기록하지 않고 폐기
    • 스와핑이 자주 발생하면, 불필요하고 값비싼 디스크 연산을 많이 줄일 수 있음
    • 반면, 변경된 페이지는 스왑 아웃할 때마다 다시 스왑 파일에 기록
  • 하드웨어 캐시(Hardware Cache)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PTE)를 저장하는 용도로 CPU 내부에 존재하는 저장공간이며, 변환 참조 버퍼(Translation Look-aside Buffers, TLB)라고도 함
    • TLB는 시스템의 여러 프로세스로부터 PTE의 복사본을 저장
    • 프로세서는 항상 (메모리에 있는) 페이지 테이블을 직접 읽는 것이 아니라, PTE를 필요로 할 때마다 TLB에서 페이지에 대한 변환 결과를 가져옴 (CPU에서 메모리보다 가까우므로 속도가 빠름)
      • CPU가 요청한 PTE에 대한 TLB 엔트리를 찾지 못하면, 커널에게 TLB를 찾지 못했다는 신호(TLB miss)를 보냄
      • 커널은 주소 변환을 위해 새로운 TLB 엔트리를 생성해서 추가
      • 예외 처리 이후, CPU는 같은 가상 주소 변환을 재시도
      • TLB Hit으로 처리 (아래 첫번째 그림은 TLB Hit, 두번째 그림은 TLB Miss)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virtual-memory-iii-15-21318-243/

  • 캐시는 관리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공간을 사용해야 하며, 캐시가 망가지는 경우 시스템이 죽는다는 단점이 존재

3단계 페이지 테이블

 

3단계 페이지 테이블

  • 리눅스 커널은 3단계 페이지 테이블을 사용하며, 가상 주소는 각 단계의 페이지 테이블에서의 오프셋을 포함
  • 1단계 페이지 테이블의 경우, 페이지 글로벌 디렉토리(PGD)의 주소에 가상 주소에 포함된 오프셋을 더해서 엔트리를 탐색
  • 매 단계마다 오프셋으로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를 찾아서, 엔트리에 저장된 페이지 프레임 번호에 페이지 크기를 곱해 다음 페이지 테이블의 베이스 주소를 계산
  • 마지막 페이지 테이블의 경우, 엔트리에 저장된 PFN은 물리 페이지 프레임 번호이며, 베이스 주소에 가상 주소의 마지막 바이트 오프셋을 더해 실제 물리 메모리 주소를 계산
  • 커널을 실행하는 플랫폼은 커널이 특정 프로세스의 페이지 테이블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매크로들을 지원해야 함
    • 인텔 x86은 2단계 페이지 테이블을 지원하며 AMD의 x86-64는 4단계 페이지 테이블을 지원, 그러나 리눅스 커널은 동일한 페이지 테이블 처리 코드를 사용

https://slidetodoc.com/carnegie-mellon-memory-management-and-virtual-memory-some/

 

+ Recent posts